기념일을 챙기실 때 가장 헷갈리는 경우가 음력 양력 날짜를 계산하셔야 하는 경우입니다. 항상 양력 날짜만 기억하다 보면 음력으로 챙겨야 하는 기념일을 착각해서 놓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데요. 이럴 때 음력 양력 변화기 혹은 양력 음력 변환기를 사용하셔서 제대로 된 날짜를 저장해 두시면 좋습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음양력 변환 계산기를 사용해 보시면 아래와 같은 네 단계의 기능을 모두 이용해 보실 수 있습니다.
- 양력을 음력으로
- 음력을 양력으로
- 특정 음력일 찾기
- 율리우스적일을 음/양력으로
이 뿐 아니라 2021년 음력 달력 이용 방법까지 같이 소개해 드리도록 할 테니, 관심 있으신 분들이라면 하단 사이트를 이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음력 양력 변환기 총 정리
오늘 소개해 드릴 계산기는 총 세 종류로 생활 천문관에서 제공하는 음양력 계산기 사이트, 네이버 음양력 변환기, 다음 음양력 변환기 이렇게 세 가지입니다. 뿐만 아니라 양력과 음력의 차이점과 윤년 평년 윤달 등의 뜻까지 소개해드리고 있으니 오늘 포스팅을 통해 유용한 정보를 얻어 가시길 바랍니다.
생활 천문관 음양력 계산기 사이트
생활 천문관 사이트는 한국 천문연구원 천문우주 지식정보에서 운영하는 사이트입니다. 대표 사이트 주소는 아래와 같은 주소를 가지고 있으니 검색 후 접속해 주도록 합니다. 그 뒤 노출되는 생활 속 천문학, 천문학 학습, 역사 속 천문 이야기, 공공데이터 공유, 천체사진 및 영상 공유 다섯 가지 항목 중 생활 속 천문학 영역을 선택해 줍니다.
그럼 음양력 변환 계산기가 가장 처음에 노출되는 것을 보실 수 있는데요. 해당 항목을 선택해 주면 저희가 찾는 음양력 변환 계산기를 바로 이용해 보실 수 있습니다.
양력을 음력으로 계산기
양력을 음력으로 계산기 페이지를 보시면 날짜 입력 방식이 직접 입력과, 달력 선택 두 가지 기능을 이용해 보실 수 있습니다.
- 직접 입력 : 연도 / 월 / 일 입력
- 달력 선택 : 캘린더를 이용해서 직접 년도 / 월 / 일을 선택
두 가지 방식 모두 사용하는 방법은 다르지만 계산 결과를 확인해 보시면 양력 날짜, 음력 날짜, 음력 간지, 율리우스적일, 윤년/윤달/평년/평달 정보까지 동일하게 확인을 해보실 수 있습니다.
음력을 양력으로 계산기
양력을 음력으로 변환하는 계산기는 연도와 월, 일을 선택하신 뒤 아래와 같이 세 가지 항목을 선택하셔서 검색이 가능합니다.
- 평달
- 윤달
- 평달인지 윤달인지 알지 못함
세 가지 항목에 따라 조금씩 다른 계산 결과를 보여주며 양력 날짜, 음력 날짜, 음력 간지, 율리우스 적일, 윤년/윤달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는 점은 위에 계산기와 동일합니다. 단 윤달과, 평달인지 윤달인지 알지 못함 두 가지 선택 값은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특정 음력일 찾기
해당 계산기의 경우 양력 입력 연도와 종료 연도를 입력하신 뒤 음력 날짜의 월, 일을 입력해 주시고 검색을 진행하시면 처음에 입력한 년도 내에 입력한 음력 날짜들에 해당하는 모든 양력 날짜들을 모두 보여주는 계산기입니다.
특별히 어떠한 년도의 음력 날짜의 양력 날짜를 알아보시고 싶을 때 사용하시면 좋은 계산기입니다. 예를 들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음력 12월 12일에 날짜를 검색하시면, 2017년부터 2021년 내에 음력 12월 12일에 해당하는 양력 날짜를 모두 확인해 보실 수 있는 계산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율리우스적일을 음/양력으로 계산기
율리우스적일이란 율리우스력의 기원전 4713년 1월 1일 월요일 정오를 기점으로 계산한 날짜의 수라고 보실 수 있습니다. 해당 날짜를 아시는 분은 많이 않겠지만 율리우스적일을 입력하면 거기에 해당하는 양력, 음력 날짜, 음력 간지, 율리우스적일, 윤년/윤달 정보를 알 수 있는 조금은 독특한 계산기입니다.
다음은 다음 및 네이버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아주 간단한 음양력 변환기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 음력 양력 변환기 이용 방법
- 네이버 포탈 사이트에 접속해 줍니다.
- 검색 창에 음력 양력 변환기 입력 후 검색을 진행해 줍니다.
- 바로 양음력 변환기가 노출되게 되는데, 캘린더를 통해 직접 날짜를 선택 후 양력에서 음력으로 변환할지, 음력에서 양력으로 변환할지 선택해 줍니다.
- 변환 버튼 선택 시 음력, 양력 날짜, 음력 간지를 손쉽게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2021년 음력 달력 확인 하기
이뿐 아니라 네이버 음력 양력 변환기에서는 2021년 달력을 바로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해당 달력에는 양력 날짜를 기준으로 날짜 하단에 바로 음력 날짜가 같이 노출되기 때문에 굳이 변환기를 사용하시지 않더라도 달력만 보시면 모든 날짜를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날짜를 넘기면서 보시면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에 해당하는 모든 음력 달력을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 양력 양력 변환기 이용 방법
- 다음 포털 사이트에 접속해 줍니다.
- 검색창에 음력 양력 변환기 혹은 양력 음력 변환기로 검색해 줍니다.
- 노출되는 양음력 변환기에서 달력을 이용해서 날짜를 선택하거나, 년월일을 입력해 주도록 합니다.
- 양력-> 음력, 음력-> 양력 둘 중 한 가지 항목을 선택 후 변환 버튼을 선택해 줍니다.
- 양력 날짜와 음력 날짜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 변환기에서 조금 독특한 기능이라면 오늘 날짜를 자동으로 선택해서 변환하실 수 있다는 점입니다. 단 네이버 달력처럼 음력 달력은 제공해 주지 않으니, 음력 달력이 필요하신 분들은 네이버 변환기를 더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확실히 네이버의 알고리즘이 다음보다는 뛰어난 것 같습니다.
음력 양력 차이
사실 양력은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한 태양의 공전 주기를 토대로 제작된 날짜입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1개월을 30일로 11개월을 만들고 마지막 달은 축제일 5일을 더해서 35일을 만들어 365일에 해당하는 날짜를 만든 겁니다.
하지만 이 365일은 실제 태양의 공전 주기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아 큰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는데요. 이런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 1582년 만들어진 그레고리력이라는 달력입니다. 현재 저희가 사용하는 달력이기도 합니다.
이 달력에서는 위에서 발생한 오차를 잡기 위해서 윤년을 도입하였는데요. 정확한 태양의 지구 공전 주기는 1년의 365.2422일입니다. 이 0.2422일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4년 주기로 365일이 아닌 366일로 계산을 하게 되는데요. 이때 2월에 하루를 더 더하게 되어 2월 29일이라는 날이 생기게 됩니다.
이렇게 2월 29일이 있는 해를 바로 윤년이라고 부르며, 이런 날이 없는 해를 평년이라고 부르게 됩니다. 그럼 윤달이 뜻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이때 음력의 계산법이 적용됩니다. 음력의 경우 달이 지구를 한 바퀴 도는 시간을 한 달로 정한 달력입니다. 이렇게 달의 주기를 이용해서 날을 세기 때문에 1년을 354일로 계산하게 됩니다. (사실 매우 부정확한 계산법입니다.) 이렇게 되면 1년이 365일인 양력과 비교를 하면 11일의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데요.
이런 오차를 해결하기 위해서 추가된 달이 바로 윤달입니다. 윤달의 경우 음력의 한 달을 반복해서 넣는 방식으로 그 반복되는 달을 윤달이라 부르며 3년에 1번, 5년에 2번, 19년에 7번 등장하게 되며, 이러한 윤 년에는 음력이 13개월로 계산됩니다. (여담으로 항공 개발 분야에서 날짜 계산 시 이런 것을 다 고려해서 소스를 만들어야 했기 때문에 초기에 굉장히 많은 오차로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마무리
지금까지 음력 양력 변환기와 음력 양력 정보에 대해서 아주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오늘 포스팅을 통해 큰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달력에도 이렇게 다양한 내용이 숨어 있다는 점이 포스팅을 하면서도 굉장히 흥미 있는 부분이기도 하였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